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알쓸잡727

최중증 발달장애인 통합돌봄 서비스를 신청하려면? ■ 최중증 발달장애인 통합돌봄 서비스 신청 - 4월 15일부터 30일까지 행정복지센터에서 통합돌봄 서비스 신청 가능 - - 4월 18일부터 30일까지 지방자치단체 현장 설명회 개최 - 도전행동(자해·타해) 등으로 인해 기존 사회서비스를 이용하기 어려웠던 18세 이상 65세 미만 지적·자폐성 장애인은 4월 15일(월)부터 4월 30일(화)까지 통합돌봄 서비스를 신청할 수 있다. * 지방자치단체 여건에 따라 추가 접수 등 진행 최중증 발달장애인 통합돌봄* 사업은 장애의 정도가 극심한 발달장애인에게 1:1 맞춤형 낮활동 또는 야간돌봄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2022년 발달장애인법 개정을 통해 법적 근거를 마련하였으며, 2024년 6월부터 전국적으로 시행할 예정이다. * ‘22년 국정과제로 선정 및 ‘발달장.. 2024. 4. 14.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2차) 신청자격 완화 시행 ■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2차) 신청자격 완화 시행 2024년 4월 12일부터 청년월세 한시 특별지원 사업 신청자격 중 거주요건*이 폐지되어, 거주요건에 부합하지 못해 신청하지 못한 분들도 신청 가능합니다. *거주요건 ①보증금 5천만원 이하 및 월세 70만원 이하, ②보증금 5천만원 이하 및 월세 70만원 이상인 경우, 보증금 월세환산액과 월세 합계가 90만원 이하 다만, 복지로 모의계산서비스(청년월세)는 ‘24. 4. 19.(금)부터 거주요건 폐지가 반영되오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마이홈포털(www.myhome.go.kr)에서 제공하는 청년월세 자가진단 서비스는 ’24. 4. 12.(금)부터 거주요건 폐지가 반영됩니다. ㅇ 거주요건 폐지 반영한 신청 일시 : 2024년 4월 12일 09시 ~ 20.. 2024. 4. 13.
다자녀 가족이 이용 가능한 ‘가족호텔’을 공개 ■ 다자녀 가족이 이용 가능한 ‘가족호텔’을 공개 그동안 5명 이상의 다자녀 가족은 호텔을 예약하고 싶어도 방두 개를 예약하거나, 아예 이용이 어려운 경우가 많아 여행지 숙소 이용에 불편함이 컸습니다. 이제 걱정마세요! 2024년부터는 다자녀 가족이 이용 가능한 ‘가족호텔’을 공개합니다! 다자녀 가족이 이용 가능한 객실 타입*과 객실 수를 한국호텔업협회 누리집에서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5인 가족(부모+자녀 3인)이 1객실에서 투숙 가능한 객실 타입! 다자녀 가족이 이용 가능한 가족호텔 정보 제공으로 다자녀 가족 숙박시설 이용 불편을 줄여나가겠습니다. ☞ 다자녀(5인 이상) 투숙가능 가족호텔 현황 확인!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http://www.korea.kr) 2024. 4. 13.
반려동물과 여행시 안전수칙은? 반려동물과 여행시 안전수칙 숙지 ◆ 차량 운행 시 ① 반려동물 안고 운전 금지 동물을 안고 운전하면 범칙금 최대 5만 원이 부과될 수 있습니다. 법에서 명시하고 있는 불법 행동임을 명심하세요. ② 반려동물 자리는 뒷자리 돌발행동 시 대처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어요. 사고가 났을 때 에어백으로 인한 부상의 위험도 존재해요. ※ 도로교통법 제39조 5항 모든 차의 운전자는 영유아나 동물을 안고 운전 장치를 조작하거나 운전석 주위에 물건을 싣는 등 안전에 지장을 줄 우려가 있는 상태로 운전하여서는 아니 된다. ◆ 대중교통 이용 시 ① 대중교통별 규격에 맞는 이동장(케이지) 이용하기 * 운수사별 차이가 존재하므로, 사전에 확인 필요 ② 이동장(케이지) 위치는 보호자의 좌석 밑, 발 아래, 무릎 ③ 두견.. 2024. 4. 12.
독거노인·장애인 응급안전안심서비스 받으려면? 독거노인·장애인 응급안전안심서비스 - 응급안전안심서비스 독거노인 소득기준 폐지, 대상자 기준 확대 - - 행정복지센터 등에서 신청·접수 가능, 적극적 대상자 발굴로 혜택 확산 - 보건복지부는 독거노인이면 누구나 「독거노인·장애인 응급안전안심서비스」 신청이 가능하도록 대상자 기준을 확대한다고 밝혔다. 독거노인·장애인 응급안전안심서비스는 노인(독거, 노인 2인 및 조손 가구) 및 장애인 가정 내 화재, 응급호출 및 장시간 쓰러짐 등을 감지하고 신고하는 정보통신기술(ICT) 기반의 장비를 설치하는 사업이다. 작년 약 24만 가구에 기기를 설치해, 냄비를 태우는 등 화재 사고를 119에 곧바로 신고하거나 화장실에서 쓰러진 어르신을 응급관리요원이 발견하는 등 총 15만 5천여 건의 응급상황을 신속하게 대응하였다... 2024. 4. 12.
우리나라꽃 무궁화꽃의 내력 ■  우리나라꽃 무궁화꽃의 내력 ● 식물분류학적 위치쌍자엽식물강-아욱목-아욱과-무궁화속-무궁화  ●  학명/영명Hibiscus syriacus L./Rose of Sharon, Shrub Althaea  ●  특징무궁화는 7월 초순에서 10월 중순까지 매일 꽃이 피고 보통 한그루에 2천~3천여 송이가 핀다. 또한 옮겨 심거나 꺾꽂이를 해도 잘 자라고 공해에도 강한 특성을 지니고 있어 민족의 근면과 끈기를 잘 나타내 준다.  ●  종류무궁화는 꽃 색깔에 따라 단심계(백·홍·자·청), 배달계, 아사달계 등으로 분류- 단심계 : 꽃의 중심부에 단심(붉은색 또는 자색 계통의 무늬)이 있는 꽃- 배달계 : 중심부에 단심이 없는 순백색의 꽃- 아사달계 : 중심부에 단심이 있으며, 백색의 꽃잎에.. 2024. 4. 8.
공중화장실 안전한가? ■ 국민안심 공중화장실 안전한 환경 조성 - 4월 26일까지, 「국민안심 그린 공중화장실 선도사업」 지자체 공모 - 노후화장실 개선과 비상벨 설치로 편리하고 안전한 사용 환경 조성 「2024년 국민안심 그린 공중화장실 선도사업」공모 □ 행정안전부는 노후된 공중화장실의 개보수와 안전한 사용환경 조성을 위해 지자체를 대상으로「2024년 국민안심 그린 공중화장실 선도사업」공모를 추진한다. ○ 이번 공모사업은 에너지 절약(전기․물)과 조속한 비상벨 설치를 위해 시·군·구의 관심과 참여를 도모하고, 나아가 민간 공중화장실로 확산하여 국민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추진하는 사업이다. □ 그동안 매년 3,000여건이 넘는 공중화장실 내 범죄가 발생하고 있어 노후된 시설 개선, 비상벨 등 안전관리 시설 .. 2024. 4. 8.
내 생애 아름다운 순간을 국립공원에서… 결혼식 및 촬영 무상 지원 내 생애 아름다운 순간을 국립공원에서… 결혼식 및 촬영 무상 지원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공단은 취약계층에게 ‘국립공원 숲 속 결혼식’을, 노년 부부에게 ‘리마인드웨딩 사진촬영’을 무상으로 지원하기 위해 4월 8일부터 20일까지 참여자를 모집한다고 밝혔다. ‘국립공원 숲 속 결혼식’은 2021년을 시작으로 지난해까지 93회를 진행해 왔으며, 올해는 65세 이상 노년 부부를 대상으로 하는 ‘리마인드웨딩 사진촬영’ 사업까지 확대하여 참여 기회의 폭을 넓혔다. 국립공원 숲 속 결혼식과 리마인드웨딩 사진촬영 신청은 국립공원공단 누리집(www.knps.or.kr)을 통해 신청할 수 있으며, 총 40쌍(신혼부부 20쌍, 노년부부 20쌍)을 선정하여 국립공원의 생태문화공간인 전국 생태탐방원에서 진행한다. 참여자에게는 예.. 2024. 4. 7.
봄철 어린이 체험활동 증가 대비 야외활동 주의 ■ 봄철 어린이 체험활동 증가 대비 야외활동 주의 - 어린이 손상 사고는 5~6월(21.3%)에 가장 많이 발생 - 사망 주요 손상기전은 추락낙상(41.3%), 운수사고(24.8%), 익사・질식 등(15.7%), 화학물질로 인한 손상(7.4%) 순 - 어린이 체험활동 중 손상 증가 추세(7.4%(’20년)→13.2%(’21년)→22.1%(’22년)) - 예방수칙, 체크리스트 등 가이드라인 및 동영상 교육자료 선제적 배포 질병관리청은 어린이 체험활동이 증가하는 5월, 6월을 대비하여 어린이들의 손상을 예방하기 위해 체험활동 중 발생할 수 있는 예방수칙, 응급처치, 체크리스트 등이 포함된 손상예방 가이드라인과 동영상 교육자료를 개발하여 선제적으로 배포(4.5.)한다고 밝혔다. 어린이 손상예방을 위한 가이드라.. 2024. 4. 7.
뱀에 물렸을때 처처법은? ■ 뱀에 물렸을때 처치법은? 우리나라 뱀의 종류는 비독사 : 누룩뱀, 구렁이 독사 : 살모사, 쇠살모사, 까치살모사(칠점사), 꽃뱀(1980년대 맹독사로 분류됨) 꽃뱀은 유혈목으로 독사로 포함됨에 따라 대부분이 독사임. 과거의 뱀에 물렸을떄 잘못된 상식들 뱀에 대한 잘못된 상식을 꺠야 한다. 1. 뱀잡아 가져가기? - 뱀잡기 어려우므로 사실상 의미없음 2. 뱀머리 구분하기? (둥근머리-비독사, 삼각머리-독사) - 꽃뱀이 포함되어 구분이 모호함. 3. 물린부위 칼로째서 빤다? - 감염위험, 빨리지도 않고 의미 없음 4. 독이 퍼지지 않도록 주위를 꽉 묶는다? - 오히려 괴사 위험이 있음, 사망 위험 5. 느슨하게 묶어서 서서히 퍼지게 한다? - 근거 부족, 의미없음 6. 심장보다 위치를 낮게한다? - 의미.. 2024. 4.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