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국민행동요령7

충북 충주시 지진 발생에 따른 전문가 위기평가 회의 개최 - 규모 3.1 최대진도Ⅴ, 강한 지진동이 관측되어 대응방안 논의 □ 행정안전부는 오늘(7일) 02시 35분경 충북 충주시에서 최대진도Ⅴ의 지진이 발생됨에 따라, 신속히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비상 1단계(지진 위기경보 ‘경계’ 단계)를 발령하고, 관계기관과 함께 총력 대응하고 있다.  ○ 관계부처와 자치단체는 즉시 피해 상황을 파악하고 지진발생 인근지역에 대한 시설별 긴급안전점검을 실시했으며, 현재까지 유감신고 23건 외 피해 상황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 지난 2022년 10월에도 인근지역인 괴산군에서 규모 4.1의 강진이 발생된 사례가 있어, 행정안전부는 오늘(7일) 오후 3시경 중대본 총괄조정관(오병권 자연재난실장) 주재로 ‘전문가 위기평가회의’를 긴급 소집해 대응 방안을 논의했다.  ○.. 2025. 2. 7.
한파·대설 대비 안전관리 강화 - 이한경 재난안전관리본부장 주재 한파·대설 대비 관계기관 대책회의 개최 □ 행정안전부는 2월 첫 주 강력한 한파와 대설이 예상됨에 따라, 오늘(3일) 16시 이한경 재난안전관리본부장 주재로 관계기관* 대책회의를 개최했다.  * 중앙부처(행안·농식품·산업·복지·환경·고용·국토·해수·중기부, 경찰·소방·농진·산림·질병·기상청), 17개 시도, 유관기관(한국전력공사,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한국도로공사, 국립공원공단) □ 기상청에 따르면 현재 경기, 강원, 충북, 경북 등 대부분 지역에 한파 특보, 충청·전라권과 제주 지역에 대설 예비특보가 발표된 가운데,  ○ 오늘(3일)부터 충남 서해안, 전라권을 중심으로 시작된 눈이 수도권과 경상권으로 확대돼 모레(5일)까지 지속*될 전망이다.  * 예상적설량(㎝) : .. 2025. 2. 3.
연이은 집중호우 사이에, 기관별 대책 긴급 점검 연이은 집중호우 사이에, 기관별 대책 긴급 점검- 7월 4~5일 집중호우 예상, 피해 최소화를 위해 관계부처 및 지자체 대책 점검 □ 행정안전부는 전국이 본격적으로 장마철에 접어든 이후 호우가 지속됨에 따라, 오늘(4일) 이한경 재난안전관리본부장 주재로 14개 관계기관* 및 17개 시·도와 호우 대비 대책회의를 개최하고 중점 관리사항과 기관별 대처계획 등을 점검했다. * 행안부·국방부·농식품부·산업부·환경부·국토부, 경찰청·소방청·국가유산청·산림청·기상청, 한국수자원공사·한국수력원자력·한국농어촌공사  ○ 기상청에 따르면, 오늘(4일) 오후부터 내일(5일)까지 중부지방을 중심으로강한 비가 내릴 것으로 예상되며, 주말(6~7일)에도 정체전선과 저기압의 영향으로 전국에 강수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 이.. 2024. 7. 5.
전국 폭염 위기경보 ‘주의’로 상향 조정 전국 폭염 위기경보 ‘주의’로 상향 조정- 폭염 피해 최소화를 위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각별한 관심과 대응 - 기온이 높은 시간대 야외활동 자제, 충분한 수분 섭취 당부 □ 행정안전부는 장마 중 습도가 높아지고 기온이 상승함에 따라폭염 상황에 대응하여 오늘(4일) 오후 6시부로 폭염 위기경보 수준을 ‘관심’단계에서 ‘주의’단계로 상향 조정했다.  ※ 폭염 위기경보 단계 : 관심 → 주의 → 경계 → 심각  ○ 폭염 위기경보 ‘주의’ 단계는 전국 특보구역(183개)의 10%(18개) 이상의 지역에서 일 최고체감온도 33℃ 이상인 상태가 3일 이상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 발령된다. 현재 50개 구역(27%)에서 폭염특보가 발령된 가운데, 당분간 무더위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 이에 따라, 행정안.. 2024. 7. 5.
전국 대부분 지역 강한 비,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가동 전국 대부분 지역 강한 비,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가동 -  6월 29일부터 정체전선 영향으로 전국적으로 강하고 많은 비- 호우 대처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단계 비상근무 돌입 □ 행정안전부는 전라·충청·경상권에 호우특보가 발표됨에 따라 6월 29일(토) 오후 5시부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단계를 가동하고, 호우 위기경보 수준을 ‘관심’에서 ‘주의’ 단계로 상향한다고 밝혔다.  ○ 기상청에 따르면, 저기압과 정체전선의 영향으로 오늘(29일)부터 내일(30일)까지 수도권 30~100㎜(많은 곳 120↑), 강원도 30~100㎜(많은 곳 120↑), 충청권 50~100㎜(많은 곳 120↑), 전라권 50~100㎜(많은 곳 150↑), 경상권 30~80㎜(많은 곳 100↑), 제주도 30~80㎜(많은 곳 120↑.. 2024. 6. 29.
산사태 대응 Q&A 산사태 대응 Q&A Q1) 장마철이 다가오는데, 우리 집 주변에도 산사태가 발생할까요? A1) 산림청이 제공하는 ‘산사태 위험지도’*에서 내 집 주변의 산사태 발생 위험도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나무, 토양, 경사 등을 토대로 전국 산림의 산사태위험도를 1~5등급으로 분류한 지도  Q2) 산사태 위험은 비가 얼마나 오느냐에 따라 계속 바뀌지 않나요? A2) 맞습니다. 이에 따라 5월부터 ‘산사태 위험지도’에 실시간 강우 데이터를 반영한 ‘실시간 산사태 위험지도’* 서비스가 제공됩니다. * 실시간 강우량과 토양함수량에 따라 실시간 변경되는 산사태 위험도를 제공하는 지도  Q3) 산사태 위험을 홈페이지나 앱에서 계속 확인을 해야만 하나요? A3) 산사태 위험이 높아지면 지자체장이 위험 정도에 따라.. 2024. 5. 14.
우주전파재난 발생 시 국민행동요령 태양활동 극대기(‘24~’27)는 약 11년 주기로 태양활동이 왕성해져 태양흑점 폭발 및 태양 방출물질(X선, 고에너지입자, 코로나물질 등)이 지구에 미치는 영향이 높아지는 시기로, 2000년대 초반 태양활동 극대기 기간 주요 피해사례는 미군 공군기지 단파통신 두절, 남아공 대규모 정전 등이 있다.   우주전파재난 발생 시 국민행동요령  출처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도자료(2024. 5. 11) 참조 2024. 5.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