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쓸잡

관세청, 마약과의 전쟁 2년 차 그 성과는?

by 아꿈사 2024. 5. 14.
728x90
반응형

관세청마약과의 전쟁 2년 차 그 성과는?

- 정부 출범 이후 2년간 총 1,459, 1,417kg의 불법 마약류 국경 반입 단계에서 단속 
   매일 2,  2,600만 명 동시 투약분 압수
- 밀수경로별 통관검사 체계 강화 및 첨단장비 도입 등 단속 인프라 확충
- 주요 공급국과 국제공조 확대  마약 출발국 현지에서부터 마약 단속

 

□ 관세청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2년간 정부의 마약과의 전쟁*기조에 발맞춰 국경 단속기관으로서 국민 건강과 사회 안전을 지키고자 해외로부터의 불법 마약류 유입을 적극 차단해 왔다고 밝혔다.

* “마약이 관리 가능한 임계치를 넘어 국가적 리스크로 확산되기 전에 전 사회적인 마약과의 전쟁이 절실”(대통령, ’22.10.24)

 

관세청은 지난 2년간(’22.5~’24.4) 1,459·1,417kg불법 마약류 국경에서 차단했다. 이는 매일 약 2의 마약밀수를 꾸준히 적발한 수준이며, 2,600만 명동시투약할 수 있는 양이다.

 

대검찰청에서 매년 발표하는 마약류 범죄 백서에 따르면 관세청은 최근 5년간(’18~’22) 국내 주요 마약류 압수량의 85%(1,858kg/2,183kg)를 적발한 기관

 

연도별로 살펴보면 작년까지는 단속 건수가 감소하고 중량은 증가하는 마약밀수대형화 추세가 나타났으나, 올해의 경우 건수증가하는 반면 중량감소하는 상반된 양상을 보이고 있다.

 

* (건수, ) (’22) 771 (’23) 704(전년대비 9%) (’24.1~4) 234(전년동기대비 14%)
(중량, kg) (’22) 624 (’23) 769(전년대비 23%) (’24.1~4) 184(전년동기대비 13%)

 

ㅇ 이는 그간의 촘촘한 국경단속 조치로 인해 국제 마약범죄 조직 등에 따른 대형 마약밀수의 유인이 억제됨과 동시에, 여전히 시도되는 소형 마약밀수철저히 적발한 결과로 판단된다.

 

□ 관세청은 국경단계에서의 단속가장 효율적인 마약 차단 대책이라는 인식하에 다음 분야에서 관세행정모든 역량집중 왔다.

 

< 마약류 밀반입 경로별 집중단속 시행 >

 

□관세청은 코로나로 인해 국가 간 여행객왕래제한되었던 시점에는 이를 고려하여 국경단계 마약 단속초점국제우편특송화물을 통한 비대면 밀수에 맞추어 역량을 집중했다.

 

ㅇ 국제우편과 특송화물 각각의 특성반영밀수경로별마약전담 검사팀을 운영하고, 의심되는 물품에는 적극적 파괴검사를 실시하는 등 통관검사 체계 전반마약 단속 중심으로 강화했다.

 

이후 코로나 방역 조치가 완화되면서 여행자를 통한 마약밀수급증할 것이 예상됨에 따라 신변은닉한 마약을 효과적으로 적발하기 위해 밀리미터파 신변검색기확대 도입*했다.

* (현재) 인천공항 3(’24) 인천·제주·김해 등 전국 주요 공항만에 13대 추가 도입

 

ㅇ 특히, 올해 상반기에는 인천국제공항에 신규 세관 검사구역을 지정으로써 우범국발 항공편의 탑승객에 대해 항공기에서 내리는 즉시 기내수하물과 신변에 대해 전수검사하는 체계구축할 예정이다.

 

또한, 관세청은 최근 선박을 이용한 해양 마약밀수 시도가 늘어남에 따라 이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수중 감시 역량을 확보하여 밀수경로별 마약 단속사각지대최소화할 계획이다.

 

< 단속 인프라 확충 >

 

□ 관세청은 첨단장비 도입, 조직·인력 확장 등 효과적인 마약밀수 단속을 위한 기반 확충에도 꾸준히 힘써왔다.

 

ㅇ 인천공항세관 등 주요 세관을 중심으로 마약수사 전담 조직인력확장*하여 세관마약수사 역량제고하는 한편, 국민의 마약 밀수신고를 활성화하기 위해 포상금 한도를 상향(최대 1.5억→3억)하고 대국민 홍보를 강화했다.

* ’22년 이후 마약수사 전담부서 2개과 신설 및 수사인력 34명 증원

 

ㅇ 또한 점차 지능화되는 밀수수법대응하기 위해 앞서 언급한 밀리미터파 신변검색기 외에도 신종마약류에 대한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해 기존 장비에 비해 넓은 범위의 마약 물질을 탐지할 수 있는 라만분광기(15)전국 세관 도입했다.

 

향후 타기관 해외 관세당국장비 활용 사례를 참고하며 인공지능(AI) 폐쇄회로텔레비전(CCTV) 첨단장비지속 도입하고, 컨테이너 탐사로봇과 같은 신규 장비의 연구개발에도 힘쓸 예정이다.

 

< 국제공조 강화 >

관세청은 국제범죄인 마약밀수를 더욱 효율적으로 단속하기 위해 마약 관련 위험정보 교환 등의 협력을 넘어 관련 기관과 합동으로 단속하는 단계로 국제공조수준격상시켰다.

 

합동단속패러다임을 국내에서의 단속뿐 아니라 공급국 현지에서 우리나라로 출발하는 단계부터 마약밀수 시도사전에 차단하는 방식으로 전환하여, ’22태국을 시작으로 베트남, 네덜란드 등 주요 마약류 공급국과 수차례 합동단속을 실시*했다.

 

* (태국) 1’22.5~8, 35117.5.kg / 2’23.3~6, 4972.2kg 적발
(베트남) ’23.10~12, 103.7kg 적발
(네덜란드) ’23.9, 91kg 적발

 

ㅇ 또한 국토안보수사국(HSI), 마약단속청(DEA) 해외 수사당국과의 공조수사*를 통해 각국 현지 또는 국내의 밀수사범검거했다.

 

* (’22) 10(34.5kg), 미국 1개국 (’23) 16(26.8kg), 미국·독일·중국 등 6개국

 

관세청은 앞으로도 합동단속을 포함하여 국제공조범위지속 확장 계획이며, 특히 올해 상반기에는 동남아 주요 마약류 공급국인 태국베트남현지 정보관*파견할 계획이다.

 

* 현지 마약류 정·첩보 수집 및 정보분석, 한국행 마약 의심 물품 공동검사 등

 

또한, 앞으로도 국경단계에서 불법 마약류밀반입철저히 차단하여 국민 건강사회 안전을 지키기 위한 역할총력을 다할 예정이다.

 

마약밀수 단속 관련 질의·응답(Q&A)

Q. 마약류가 합법인 나라를 여행하면서 무심코 마약을 복용했어요. 해당 경우에도 처벌을 받나요?

 

마약이 합법인 국가를 방문해 이를 복용한 경우라도 한국인은 입국과 동시에 처벌받을 수 있으며, 특히 입국 과정에서 마약 검사 시 양성 판정을 받는다면 이는 수사의 증거로 활용될 수도 있습니다.

 

특히, 우리나라 마약류관리법상 대마는 엄격히 마약류로 분류되며 재배·소지·소유·운반·보관 및 흡연·섭취한 자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할 수 있어 대마 합법화 국가*를 방문하는 여행객은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 미국(24개주 및 워싱턴DC), 캐나다, 멕시코, 몰타, 조지아, 우르과이, 룩셈부르크, 태국, 남아프리카공화국

 

이와 더불어, 대마 합법화 국가에서는 대마에서 추출된 성분을 이용한 대마 젤리·오일·초콜릿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이 판매되고 있습니다.

 

- 대마 합법화 국가를 여행하는 경우 또는 온라인 쇼핑몰에서 제품을 구매하는 경우 대마 성분(THC, CBD, CBN)을 의미하는 문구나 대마잎 모양의 그림 또는 사진이 있는 제품은 구매해서는 안됩니다.

 

- 젤리, 초콜릿 등 단순 기호품이라 하더라도 대마 성분이 포함된 제품은 국내로 반입하거나 해외에서 섭취한 경우에도 처벌 대상이 됨을 반드시 숙지하시기 바랍니다.

 

Q. 제가 마약을 사용할 건 아니고, 그냥 들고만 오는 경우에도 처벌 받나요?

 

코로나 엔데믹 이후 해외여행이 활발해짐에 따라 최근 국제 마약 범죄조직이 한국인을 포섭하여 마약을 밀수하려다 적발되는 사례가 꾸준히 발생하고 있습니다.

 

- 마약류관리법에서는 마약류 취급자가 아닌 사람이 마약류를 소지 및 운반해서는 안된다고 명시하고 있으며, 이는 본인이 직접 사용할 것인지의 여부와는 무관합니다.

 

- 따라서 본인이 사용할 것이 아니거나, 심지어 들고 오는 물품이 마약류임을 모른다 하더라도 국내로 반입하는 경우 처벌받을 수 있으며, 특히 공짜 여행이나 수고비를 미끼로 접근하여 수하물 대리 운반 등을 제안하는 경우 반드시 경계가 필요합니다.

 

Q. 마약밀수 정황을 알게 되었습니다. 어떻게 신고해야 하나요?

 

관세청은 마약 밀수신고 활성화를 위해 포상금 상한을 기존 1.5억원에서 3억원으로 상향(’23.5)하고 대국민 홍보 활동을 지속하고 있습니다.

 

- 마약 밀수신고는

국번없이 125(해외에선 +82-2-3438-5199)

관세청 홈페이지 이용(국민참여>신고마당>밀수신고>신고하기)

모바일 관세청 앱(APP) 이용(전체메뉴>밀수신고>신고서 작성)

관할세관 방문 또는 팩스·우편신고

등의 방법을 통해 가능합니다.

 

관세청은 밀수신고 제보자의 신원이 노출되지 않도록 철저히 비밀을 보장하고 있으며, 제보 내용 등 자료도 관련 법령에 따라 엄격하게 관리하고 있으니 안심하고 신고해 주세요.

 

 

Q. 관세청의 마약 탐지견에 대해 알고 싶어요.

 

관세청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마약탐지견을 육성·운영하는 기관으로서, 현재 인천공항 등 9개 주요 공항만에서 총 40두의 마약탐지견이 활동하고 있습니다.

 

- 탐지견은 활동적이고 사람과의 친화력이 좋은 래브라도 리트리버, 스프링거 스패니엘 품종으로 육성하고 있으며, 엄격한 훈련과정을 통과한 우수한 개체가 현장에 배치되게 됩니다.

 

- 배치된 탐지견은 보통 89세에 은퇴하게 되는데, 은퇴한 탐지견은 2의 행복한 견()생을 보낼 수 있도록 민간입양을 진행하고 있으며, 입양 전까지 관세청 탐지견 훈련센터에서 각별한 보살핌을 받습니다.

 

마약범죄 척결을 위해서는 해외로부터의 공급 차단과 더불어 수요 억제라는 두 가지 측면의 동시 접근이 필요합니다.

 

- 따라서 불법 마약의 적발뿐 아니라 공항 등의 현장에서 일반 국민을 대상으로 마약 밀반입에 대한 경각심을 줄 수 있는 탐지견의 역할이 점점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 현재 군부대, 교정시설, 학교 등 여러 기관에서 소관시설에 대한 마약 탐지 활동 요청이 있으며, 관세청은 이에 응해 탐지견을 지원함으로써 불법 마약 단속과 더불어 수요억제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 ’23.7월부터 전국 주요 군부대에 반입된 택배·우편물 대상 총 34차례 탐지견 지원

 

관세청은 향후 현재 탐지견 훈련센터를 우리나라 마약탐지견의 육성·관리·운영을 총괄하는국가탐지견센터로 확대·개편하고,

- 탐지견에 대한 수준 높은 복지를 제공함과 동시에 국내기관 및 해외 관세당국이 필요로 하는 탐지견 지원활동 등을 지속적으로 수행해 나갈 계획입니다.

 

출처: 관세청 보도자료(2024. 5. 14) 참조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