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환경부 등 19개 중앙행정기관, 15개 분야 다양한 직급 채용 -
행정, 전산, 농업 등 분야에서 올해 중증장애인 국가공무원을 68명 선발한다.
인사혁신처는 이 같은 내용의 ‘2025년도 중증장애인 국가공무원 경력경쟁채용시험 시행계획’을 사이버국가고시센터(www.gosi.kr)에 14일 공고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환경부, 교육부 등 19개 중앙행정기관에서 15개 분야에 걸쳐 다양한 직급으로 채용한다.
직급별로 7급 2명, 8급 4명, 9급 56명, 연구사 5명, 전문경력관 1명을 선발한다.
【 2025년도 중증장애인 국가공무원 경력채용 직급별 선발예정인원 】
직렬 직급 |
계 | 행 정 |
전 산 |
해양수산 | 간 호 |
공 업 |
농 업 |
관 세 |
보 건 |
약 무 |
통 계 |
식품 위생 |
통계연구 | 수의연구 | 기 타 |
7급 | 2 | - | - | - | - | - | - | - | - | 1 | 1 | - | - | - | - |
8급 | 4 | 1 | 1 | 1 | 1 | - | - | - | - | - | - | - | - | - | - |
9급 | 56 | 44 | 3 | 2 | - | 1 | 1 | 1 | 1 | - | 1 | 1 | - | - | 1 |
연구사 | 5 | - | - | - | - | - | 3 | - | - | - | - | - | 1 | 1 | - |
전문경력관(나군) | 1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
계 | 68 | 45 | 4 | 3 | 1 | 1 | 4 | 1 | 1 | 1 | 2 | 1 | 1 | 1 | 2 |
최종합격자는 ▲우편물 관리 ▲정보시스템 운영 관리 ▲예산․회계․계약 업무 ▲유전자 분석 관련 업무 등 중증장애인 근무에 적합한 직위에 배치된다.
응시 자격은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에 따라 중증장애인에 해당하면 시험에 응시할 수 있으며, 선발 단위별로 정해진 자격증과 경력, 학위 등의 요건 중 1개라도 충족하면 된다.
원서는 3월 11일부터17일까지 온라인으로 접수해야 하며, 서류전형(4월), 면접시험(5월 21일∼22일)을 거쳐 7월 11일 최종합격자를 발표한다.
선발 단위별 세부 응시 자격요건, 원서접수 방법, 시험 일정, 편의 지원 신청 등 자세한 내용은 ‘사이버국가고시센터’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중증장애인 경력 채용은 상대적으로 고용 여건이 열악한 중증장애인의 공직 진출 기회를 확대하고자 지난 2008년 도입됐다.
2008년 18명을 시작으로 지난해까지 누적 선발인원은 총 480명*이며, 지난해 기준 중앙부처에 근무하는 중증장애인 공무원은 총 1,200명**으로 매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 (최근 5년간 선발인원) ’20년 39명 → ‘21년 33명→ ‘22년 45명→ ’23년 41명→ ’24년 38명
** (중앙부처 중증장애인 공무원) ‘19년 958명 → ’20년 1,018명→ ’21년 1,086명→‘22년 1,193명→‘23년 1,200명
인사처는 중증장애인 응시자의 수험 환경 개선을 위해 사전에 편의 제공 신청을 받아 다양한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원서접수 시 희망자에게 가족, 친구 등 예비 연락처를 받아 시험단계별로 필요한 시험정보와 유의사항 등을 안내한다.
면접에서는 장애 특성에 맞춰 인공와우 등 보조기기 착용, 필담 면접 등 다양한 편의가 지원되며, 별도의 ‘특별상황 전담 대응조직(팀)’을 구성해 응시자 불편 사항을 사전 예방하고 있다.
서류전형 합격자 증빙서류 제출방식도 기존 등기우편 방식 외에 온라인 제출방식을 병행해 개인 상황에 맞게 제출토록 하고 있다.
임용 이후에도 높낮이 조절 탁자(테이블) 등 보조공학기기와 휠체어 이동 지원 등 근로 지원 서비스를 제공해 공직 적응을 돕고 있다.
손무조 인재채용국장은 “중증장애인이 공직에서 새로운 출발을 할 수 있도록 적합한 직위를 계속 발굴하고, 불편함 없이 공정하게 시험에 응시할 수 있도록 맞춤형 편의를 제공하겠다”며 “많은 수험생의 적극적인 지원을 바란다”고 말했다.
중증장애인 경력경쟁채용시험 개요
□ 제도 개요
○ 중증장애인의 공무원 임용기회 확대를 위해 2008년부터 중증장애인*만을 대상으로 인사혁신처에서 주관하여 경력경쟁채용시험 실시
* 근거: 「공무원임용시험령」제20조의3(중증장애인의 채용기회 확대)
< 중증장애인 경력경쟁채용 연도별 선발인원 >
(단위:명)
구 분 | 계 | 2008 ~2016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2025 |
선 발 인 원 |
548 | 212 | 22 | 25 | 25 | 39 | 33 | 45 | 41 | 38 | 68 (예정) |
□ 응시 자격
○ 응시자격 요건: 선발단위별로 정한 관련분야 자격증, 경력, 학위 소지자
○ 중증장애인 기준: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 시행령」 제4조제1항에서 정한 중증장애인의 기준에 해당하는 사람
1. 「장애인복지법 시행령」 제2조 및 별표1에 따른 사람 중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 시행규칙」 별표1에 해당하는 사람
2. 「국가유공자 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14조제3항에 따른 상이등급에 해당하는 사람 중 3급 이상의 상이등급에 해당하는 사람
□ 채용 절차
○ 선발절차 : 1차서류전형(3배수 범위) → 2차면접시험
2025년 부처별 중증장애인 선발예정인원
구 분 | 계 | 직렬 | 소계 | 7급 | 8급 | 9급 | 연구사 | 전문 경력관 나군 |
|
계 | 68 | - | 68 | 2 | 4 | 56 | 5 | 1 | |
1 | 고용노동부 | 1 | 행정 | 1 | 1 | ||||
2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27 | 행정 | 27 | 27 | ||||
3 | 관세청 | 1 | 관세 | 1 | 1 | ||||
4 | 교육부 | 4 | 행정 | 3 | 3 | ||||
전문경력관 | 1 | 1 | |||||||
5 | 국가유산청 | 1 | 행정 | 1 | 1 | ||||
6 | 기획재정부 | 1 | 행정 | 1 | 1 | ||||
7 | 농림축산식품부 | 4 | 행정 | 1 | 1 | ||||
전산 | 1 | 1 | |||||||
농업 | 1 | 1 | |||||||
수의연구 | 1 | 1 | |||||||
8 | 농촌진흥청 | 3 | 농업 | 3 | 3 | ||||
9 | 보건복지부 | 3 | 행정 | 1 | 1 | ||||
보건 | 1 | 1 | |||||||
전산 | 1 | 1 | |||||||
10 | 식품의약품안전처 | 2 | 행정 | 1 | 1 | ||||
식품위생 | 1 | 1 | |||||||
11 | 외교부 | 2 | 행정 | 1 | 1 | ||||
위생 | 1 | 1 | |||||||
12 | 재외동포청 | 1 | 행정 | 1 | 1 | ||||
13 | 질병관리청 | 2 | 행정 | 2 | 2 | ||||
14 | 통계청 | 2 | 통계 | 2 | 1 | 1 | |||
15 | 특허청 | 1 | 약무 | 1 | 1 | ||||
16 | 해양경찰청 | 3 | 공업 | 1 | 1 | ||||
해양수산 | 1 | 1 | |||||||
통계연구 | 1 | 1 | |||||||
17 | 해양수산부 | 3 | 행정 | 1 | 1 | ||||
해양수산 | 2 | 1 | 1 | ||||||
18 | 행정안전부 | 3 | 행정 | 1 | 1 | ||||
전산 | 1 | 1 | |||||||
간호 | 1 | 1 | |||||||
19 | 환경부 | 4 | 행정 | 3 | 1 | 2 | |||
전산 | 1 | 1 |
출처: 인사혁신처 보도자료(2025. 2. 14)
'알쓸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얼・죽・신, 똘똘한 한 채” 열풍에 편승한변칙적・지능적 부동산거래 탈세 세무조사 (9) | 2025.02.17 |
---|---|
외국인 가사관리사 시범사업, 이용가정 돌봄공백 없도록 고용 연장 (33) | 2025.02.15 |
개인정보위, 소셜로그인 실태점검 결과 발표 (46) | 2025.02.13 |
보조배터리·전자담배 기내 안전관리 강화 (12) | 2025.02.13 |
국립수목원, 초등학교 단체 대상 당일형 산림 교육프로그램 접수 시작 (7) | 2025.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