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산사태3

산림청, 산사태 대피시간 1시간 확보! 산림청, 산사태 대피시간 1시간 확보!- 산사태예측정보에 ‘예비경보’ 새로 도입해 산사태 대응체계 개선 완료  산림청은 기존 2단계(주의보→경보)로 운영 중이던 ‘산사태 예측정보’ 체계에 ‘예비경보’를 추가해 3단계(주의보→예비경보→경보)로 운영해 약 1시간의 주민대피 시간을 확보한다고 28일 밝혔다.  ‘산사태 예측정보’란 산림청이 운영하고 있는 ‘산사태정보시스템’에서 생산되는 정보다. 이 정보는 토양이 머금을 수 있는 최대 물의 양 기준으로 토양함수량이 80%에 다다르면 ‘주의보’, 100%에 다다르면 ‘경보’가 자동 생산된다.  예측정보는 즉시 각 지방자치단체 담당자 및 부단체장에게 전송돼 현장에서 주민대피, 산사태예보 발령 등을 위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며 ‘산사태정보시스템’과 모바일 ‘스마트산림.. 2024. 6. 28.
‘산사태는 언제 발생할까?’ ‘산사태는 언제 발생할까?’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27일, 산사태에 대한 경각심을 높이기 위한 연구자료 ‘2024 산사태 제대로 알기’를 발간하였다고 밝혔다. 산사태는 대표적인 여름철 산림재난으로, 극한 호우로 인해 발생하며 인명피해까지 이어질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산사태에 대한 이해를 돕고 경각심을 높이기 위해 발간한 이번 자료에는 산사태 예방 및 대응 방법, 산사태 발생 시 대국민 행동 요령 등과 함께 여름철 자연재난 대책기간(5.15~10.15) 동안 국립산림과학원에서 운영 중인 ‘산사태예측분석센터’의 역할 등이 포함되어 있다. 특히 ‘산사태는 비가 얼마나 오면 발생하나요?’를 비롯한 총 74가지의 질문과 답변을 담았으며, 사진자료나 삽화를 추가하여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 2024. 5. 27.
산사태 대응 Q&A 산사태 대응 Q&A Q1) 장마철이 다가오는데, 우리 집 주변에도 산사태가 발생할까요? A1) 산림청이 제공하는 ‘산사태 위험지도’*에서 내 집 주변의 산사태 발생 위험도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나무, 토양, 경사 등을 토대로 전국 산림의 산사태위험도를 1~5등급으로 분류한 지도  Q2) 산사태 위험은 비가 얼마나 오느냐에 따라 계속 바뀌지 않나요? A2) 맞습니다. 이에 따라 5월부터 ‘산사태 위험지도’에 실시간 강우 데이터를 반영한 ‘실시간 산사태 위험지도’* 서비스가 제공됩니다. * 실시간 강우량과 토양함수량에 따라 실시간 변경되는 산사태 위험도를 제공하는 지도  Q3) 산사태 위험을 홈페이지나 앱에서 계속 확인을 해야만 하나요? A3) 산사태 위험이 높아지면 지자체장이 위험 정도에 따라.. 2024. 5. 14.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