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쓸잡

산림청, 산사태 대피시간 1시간 확보!

by 아꿈사 2024. 6. 28.
728x90
반응형

산림청, 산사태 대피시간 1시간 확보!

- 산사태예측정보에 예비경보새로 도입해 산사태 대응체계 개선 완료

 

산림청 기존 2단계(주의보경보)로 운영 중이던 산사태 예측정보체계에 예비경보를 추가해 3단계(주의보예비경보경보)로 운영해 약 1시간의 주민대피 시간을 확보한다고 28일 밝혔다.

 

‘산사태 예측정보’ 산림청이 운영하고 있는 산사태정보시스템에서 생산되는 정보다. 이 정보는 토양이 머금을 수 있는 최대 물의 양 기준으로 토양함수량이 80%에 다다르면 주의보’, 100%에 다다르면 경보가 자동 생산된다.

 

예측정보는 즉시 각 지방자치단체 담당자 및 부단체장에게 전송돼 현장에서 주민대피, 산사태예보 발령 등을 위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며 산사태정보시스템과 모바일 스마트산림재난앱에서 국민 누구나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다.

 

국립산림과학원에 따르면 토양함수량이 90%에서 100%에 도달하는데 평균적으로 약 1시간이 소요된다. 올해부터 예비경보단계를 추가함으로써 1시간의 대피시간을 확보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산림청은 이번주부터 본격적인 장마가 시작됨에 따라 산사태 발생에 대비해 중앙산림재난상황실을 24시간 운영하는 한편, 각 지역 산사태취약지역을 우선으로 모니터링을 강화할 방침이다.

 

남성현 산림청장은 산사태는 다수의 인명과 재산 피해의 우려가 높은 자연재난으로 선제적인 예방과 대피가 가장 중요하다라며 나와 가족의 안전을 위해 산사태 국민행동요령을 꼭 숙지하고 곧 다가올 풍수해 위험시기에 대피문자 수신 시 주저 없이 대피해 달라고 당부했다.

 

 

 

출처: 산림청 보도자료(2024. 6. 28)

 

 

이번주부터 본격적인 장마가 시작되고 올해는 강우량도 많을 거라고 하는데 걱정입니다. 산사태는 불시에 큰 피해를 입힐수 있으므로 더욱 주의하고 대비해야겠습니다. 대피시간 1시간도 부족할 것 같은데 시스템이 좀 더 보완이 되었다니 다행입니다.

 

우스갯소리를 하나 하자면 저는 도로를 다니면서 낙석주의 푯말을 보면 의아했던게 주의를 하라는 것은 알겠는데 빨리 지나가라는 것인지 그게 빨리 지나간다고 피할수 있는 것인지 항상 궁금했습니다. 그런 지역은 되도록 안가는게 최선이지만 그럴 수는 없으니 각자 기도하면서 잘~ 피해서 다니셔야 할 것 같습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