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쓸잡

서울·세종·대구에서 배우는 전통공예의 정수(8.19.~12.6.)

by 아꿈사 2024. 7. 24.
728x90
반응형

서울·세종·대구에서 배우는 전통공예의 정수(8.19.~12.6.)

- 전통문화교육원, ‘24년 하반기 전통공예체험 교육생 모집(7.29.~8.11.), 단청·모사 등 총 18개 과정 운영

 

국가유산청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문화교육원 오는 819일부터 126일까지 4개월간(16) 수도권 지역의 서울학습관충청권 지역의 세종학습관, 영남권 지역의 대구학습관에서 2024년도 하반기 전통공예체험교육을 운영한다.

* 서울학습관: 서울특별시 강동구 고덕동 210-1 서울시민대학 동남권캠퍼스 3

* 세종학습관: 세종특별자치시 다정동 965 가온마을 7단지 LH희망상가 B2

* 대구학습관: 대구광역시 수성구 만촌동 1417-1 대구생활문화센터 3

대구광역시 중구 수창동 64-2 수창청춘맨숀 1

 

이번 학기부터는 대구학습관에서 기존의 전통자수, 전통전각 이외에 소목 2과정을 신설함에 따라, 3개 학습관에서 총 18개 과정을 운영해 보다 많은 국민에게 전통문화 체험교육의 기회를 제공할 예정이.

서울학습관에서는 단청(문양·별화), 모사(화조화·초상화), 전통서각, 전통누비까지 6개 과정

세종학습관에서는 단청(문양·별화), 전각(전통·디자인), 배첩(족자·장정), 모사(화조화·초상화)까지 8개 과정

대구학습관에서는 전통전각, 전통자수, 소목(1·2)까지 4개 과정을 운영한다.

각 과정에는 국가무형유산 이수자, 국가유산수리기능인 등 분야별 전문가가 강사로 참여한다.

 

이번 교육은 전통재료와 도구를 활용한 우리나라 전통공예 기법을 배워, 직접 문양과 작품을 그리거나 만드는 등 체험과 실습 위주로 이뤄진다. 수업료와 기자재 사용은 전액 무료이며, 일부 소모성 재료만 교육생이 구매하면 된다.

 

교육생은 각 과정별 15명 이내로 선발하며, 국민 누구나 7월 29일부터 8월 11일까지 선착순으로 신청 가능하다.

각 학습관별 누리집(서울학습관 서울시평생학습포털’ sll.seoul.go.kr / 세종학습관 세종시민대학 집현전’ sjlms.sjhle.or.kr / 대구학습관 대구예술발전소×수창청춘맨숀’ daeguartfactory.kr)에서 신청할 수 있으며,

자세한 사항은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누리집(knuh.ac.kr)에서 확인 가능하다.

 

국가유산청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문화교육원은 앞으로도 국가유산 및 전통문화에 대한 국민적 이해와 관심을 높이고, 전통문화 저변 확대에 이바지할 수 있는 다채로운 전통문화 교육과정을 개발·운영해나가는 적극행정을 이어갈 것이다.

 

2024년도 하반기 전통공예체험교육 안내 자료

 

사진자료

 

 

 

출처: 국가유산청 보도자료(2024. 7. 24)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