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체부와 교육부, 힘 합쳐 학교체육 활성화한다
- 7. 4. 문체부-교육부 학교체육 정책협의체 개최 - 문체부 장미란 제2차관과 교육부 오석환 차관, 학교체육 활성화를 위한 부처 간 긴밀한 협력체계 구축 논의 |
문화체육관광부(이하 문체부)와 교육부는 7월 4일(목), 정부세종청사에서 ‘문체부-교육부 학교체육 정책협의체’를 개최한다.
이번 협의체는 지난 4월의 초등학교 1~2학년 체육 교과 분리 결정*을 계기로 학교체육의 활성화를 촉진하기 위해 마련한 자리다. 문체부 장미란 제2차관과 교육부 오석환 차관은 협의체에 참석해 학생들의 신체활동 시간 확대에 필요한 현장 지원, 학생 건강 체력 증진, 학교운동부 육성, 학교스포츠클럽 운영 방안 등 학교체육 활성화를 위한 양 부처 간 긴밀한 협력체계 구축을 논의한다.
* ’24. 4. 26.(금) 국가교육위원회 회의 결과, 초등학교 1~2학년 ‘즐거운 생활’에서 신체활동 영역을 분리하여 체육 교과를 신설하기로 결정
초등 체육수업 전문성 제고, 학생 체력 증진, 전문체육 저변 확대 방안 등 논의
구체적으로 체육 교과 분리 운영에 대비해 체육전담교사 배치, 시설 확충, 교원 대상 체육 연수 확대 등 초등학교 체육수업의 전문성을 높이는 방안과 전 생애에 걸친 체력 관리 기반을 조성하기 위한 학생건강체력평가(PAPS)와 ‘국민체력100’의 측정항목 일원화 방안 등을 다룬다.
전문체육으로 가는 핵심 토대로서 학생선수 지원 강화에 대해서도 의견을 나눈다. 현행 최저학력제와 대회·훈련 참가 시 출석 인정 일수 등 학생선수 육성 관련 제도 개선책과 지정스포츠클럽*과 학교 간 유기적 연계를 통한 새로운 전문선수 발굴체계 구축, 학교스포츠클럽 활성화를 바탕으로 생활체육과 전문체육 간 연계를 강화하는 방안 등도 함께 살필 계획이다.
* 「스포츠클럽법」상 스포츠클럽(회원의 정기적인 체육활동을 위하여 특별자치시장·특별자치도지사·시장·군수 또는 구청장에게 등록하고 지역사회의 체육활동 진흥을 위해 운영되는 법인 또는 단체) 중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지정한 스포츠클럽
문체부와 교육부는 기존에 국장급으로 운영하던 협의체를 차관급으로 격상한 것을 계기로 향후 협의체를 정례화해 운영하고 이번 회의에서 논의한 안건을 더욱 구체화해 나갈 예정이다.
장미란 차관은 “학교체육은 아이들의 체력을 증진하고 신체활동의 즐거움을 줄 뿐만 아니라, 공정한 경쟁과 협력 등의 가치를 가르치고 사회적 인간으로 성장시키는 밑거름이 된다.”라며 “학교체육이 일반 학생들의 스포츠 참여 확대와 동시에 전문선수 발굴 및 육성의 장으로 더욱 활성화될 수 있도록 교육부와 지속적으로 협력하겠다.”라고 밝혔다.
문체부-교육부 학교체육 정책협의체 개최계획안
□ 회의 개요
ㅇ (일시/장소) ’24. 7. 4.(목) 10:00~11:00 / 정부세종청사 14-2동 530호
ㅇ (주요 안건) 학교체육 활성화를 위한 주요 정책 이슈 및 방안 논의
① 학교체육 교육과정 내실화 방안
- (초1~2 체육교과 분리) 교육과정 개정 후 체육수업 운영 내실화를 위해 필요한 교원 전문성 제고, 시설 확충 등에 대한 사항
- (초등 스포츠강사) 초등 스포츠강사 운용 관련 예산 분담과 고용안정 등 논의
② 학생선수 지원 확대
- 최저학력제, 출석 인정 일수 등 학생선수 관련 제도 개선 방안 논의
③ 전문체육 저변 확대
- 학교운동부와 학교스포츠클럽 연계 강화, 학교스포츠클럽 운영 다양화 등 생활체육-전문체육 간 연계를 통한 전문체육 저변 확대 방안 모색
④ 학생건강체력평가(PAPS)와 성인 ‘국민체력100’ 측정항목 일원화
ㅇ (주요 참석자)
- 문체부 : 장미란 차관, 체육진흥과장 및 관련 업무 담당자 등
- 교육부 : 오석환 차관, 인성체육예술교육과장 및 관련 업무 담당자 등
□ 향후 계획
ㅇ 차관급 협의체 정례 운영 및 국·과장급 실무 협의회 운영
출처: 문화체육관광부 보도자료(2024. 7. 4)
'알쓸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방의회 선심성 포상 등 특혜 관행 근절” (64) | 2024.07.04 |
---|---|
6세대 이동통신 시대, 통신의 경계가 사라지다 (49) | 2024.07.04 |
신문이 들려주는 숲이야기,‘엔‧아이‧이(NIE) 패스포트’를 활용하세요! (42) | 2024.07.04 |
모든 고용서비스, 고용24(시범운영) 앱에서 이용할 수 있어요! (52) | 2024.07.03 |
당신의 생명을 위해 구명조끼를 착용하세요! (70) | 2024.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