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고용서비스, 고용24(시범운영) 앱에서 이용할 수 있어요!
- 위치기반으로 쉽고, 푸시 서비스로 편리하고, 지문인식으로 안전하게! - |
이제부터 취업지원, 실업급여, 내일배움카드 등의 온라인 고용서비스를 모바일앱으로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고용노동부와 한국고용정보원은 차세대 디지털 고용플랫폼 「고용24」 모바일앱을 7월 3일 출시하여 시범운영 한다고 밝혔다.
* 고용24 모바일앱은 2주간(6.19.~7.2.) 사전테스트를 거쳐 출시
「고용24」는 그간 워크넷, 고용보험, 직업훈련포털(HRD-Net) 등 여러 사이트에서 따로따로 해야 했던 온라인 고용서비스를 통합하여 한 곳에서 신청하고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통합 포털로서, 2024년 3월부터 시범운영 중이다.
「고용24」를 사용하면 ①한 번의 로그인으로 언제든, 어디서든 일자리와 관련한 다양한 지원을 한 곳에서 받을 수 있고, ②일일이 내게 맞는 제도를 찾지 않아도 개인과 기업에 필요한 서비스를 추천하고 맞춤형 정보를 받을 수 있으며, ③신청해보기 전에 내가 신청 자격이 되는지, 안되는 이유는 무엇인지 미리 알려주는 ‘지원자격 사전진단’과 정보 연계, 각종 지원제도를 알기 쉽게 소개하는 ‘고용정책 가이드’를 쉽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이번에 출시한 앱으로 ①지문인식 등 생체정보 기반으로 더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고 ②위치기반 서비스로 내 주변 채용정보도 쉽게 알 수 있다. 또한 ③푸시 서비스를 신청하면 매번 로그인하지 않고도 맞춤 안내를 받을 수 있게 된다.
편도인 고용지원정책관은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사용자 의견을 최우선으로 반영하여 고도화해 나가는 데 힘쓰겠다”라고 밝혔다.
고용24 주요 특징 및 기능
□ 디지털 고용서비스 이용자의 서비스 접근성 제고를 위해 그간 9개로 분산된 온라인 고용서비스를 고용24 하나로 통합*
*➊워크넷, ➋고용보험, ➌HRD-NET, ➍취업이룸(국취), ➎EPS(외국인고용),
➏청년일자리, ➐청년내일채움공제, ➑중소기업청년직무체험, ➒청년도전지원
○ 아울러 데이터 연계 강화로 각종 증빙서류와 입력항목을 대폭 간소화하고, 맞춤형 일자리‧훈련‧정책정보 추천 서비스도 강화
*예)고용촉진장려금은 102개 → 25개로 입력항목을 축소
시범서비스(‘22.7) 결과 온라인 신청비율이 345%증가(전년동기 3개월 대비)
○ 업무 분야별 단계적 서비스 오픈 후 ‘24.3월부터 본격 시범운영 중 → ’24.6월말 기준 개인회원 830.6만명, 기업회원 26.6만개로 회원가입 규모는 지속 증가 추세로 ’24.9월 정식운영 시작 예정
대상 | 주요 기능‧특징 | 세부 내용 |
개인‧ 기업‧ |
사이트 통합 | ▪한번의 로그인으로 고용서비스와 관련된 다양한 지원 *(개인) 취업지원+정부지원금+내일배움카드+실업급여 등 *(기업) 인재찾기+정부지원금+교육훈련+외국인고용 등 |
맞춤형 추천 | ▪따로찾지 않아도 회원정보를 통한 맞춤형 정보제공 *(잡케어) 희망직종 기준 직무능력진단, 일자리‧교육‧자격증 추천 *(서비스 추천) 개인‧기업 특성에 맞는 고용서비스와 지원금 추천 *(노동시장정보) 직종별 실제임금, 기업/근로자 희망임금격차 등 |
|
정보연계를 통한 신청절차 간소화 |
▪입력항목 축소, 신청 전 지원자격 사전진단, 정보연계를 통한 서류부담 감소를 통해 쉬운 신청 제공 | |
정책가이드 | ▪개인(취업단계별), 기업(인사관리단계별)에 맞는 각종 지원제도를 알기쉽게 소개 |
|
기업 | 민간 ERP 연계 | ▪기업 ERP(더존비즈온 등)에서 기업지원금 등 정보 검색 및 바로 신청 가능 |
내부 직원 |
지원금 자동심사 | ▪별도 서류확인 없이 시스템이 적합여부 자동판정 |
단순업무 자동화 | ▪일일이 수기로 발송하던 우편을 온라인으로 자동발송, 전자팩스 수신 시 문서(신청서, 첨부) 자동 연계 | |
펌뱅킹 | ▪일반회계 지급처리 업무 간소화 | |
상담자동기록 | ▪STT(Speech To Text)를 활용, 상담내용 요약‧기록 |
고용24 모바일 앱 화면
출처: 고용노동부 보도자료(2024. 7. 3)
'알쓸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체부와 교육부, 힘 합쳐 학교 체육 활성화한다 (56) | 2024.07.04 |
---|---|
신문이 들려주는 숲이야기,‘엔‧아이‧이(NIE) 패스포트’를 활용하세요! (42) | 2024.07.04 |
당신의 생명을 위해 구명조끼를 착용하세요! (70) | 2024.07.03 |
농촌소멸 대응,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농어촌민박 제도 개선안 마련 (62) | 2024.07.03 |
「고령 대가야」, 5번째 고도(古都) 된다 (47) | 2024.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