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달음식 프랜차이즈 업체와 김밥, 도시락 등 식중독 예방 간담회 개최 - 퍼프린젠스 식중독 예방을 위한 대량 조리식품 안전관리 철저 당부 - 음식점 위생등급제 활성화 방안 논의 및 현장 애로사항 청취 |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야외활동이 많아지는 봄철을 맞아 도시락, 김밥 등 배달음식으로 인한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해 3월 28일 식품안전정보원(서울 중구 소재)에서 배달음식 프랜차이즈 업체와 간담회*를 열고 대량 조리식품의 철저한 안전관리를 당부했다.
* (참석) 식품안전정책국장, 도시락·김밥프랜차이즈 업체, 미생물 분야 교수 등
식약처는 간담회에서 최근 배달음식 식중독 발생 현황을 공유하고 조리단계에서 식중독을 예방하는 방법, 음식점 위생등급제 활성화 방안 등에 대해 논의하는 한편 현장의 애로사항을 청취했다.
기온이 상승하는 봄(3~5월)에는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균(이하 퍼프린젠스)에 의한 식중독이 많이 발생하고, 최근 배달음식에 의한 퍼프린젠스 식중독이 증가하고 있어 철저한 식중독 예방관리가 필요하다.
* 최근 3년간 퍼프린젠스 식중독 발생건수 및 환자수
① [봄철] (’22) 3건, 287명 → (’23) 7건, 298명 → (’24) 9건, 277명
② [배달음식] (’22) 4건, 264명 → (’23) 3건, 106명 → (’24) 11건, 452명
< 최근 3년간 퍼프린젠스 식중독 발생 현황 >
또한 퍼프린젠스 식중독은 음식점, 집단급식소에서도 많이 발생하고 있는 만큼 식중독 예방 수칙 준수 등 식품접객업소의 위생관리를 강화해야 한다.
퍼프린젠스균은 육류를 주원료로 하는 조리식품에서 주로 발생하는데, 열에 강한 아포(spore)*를 만들어 살아남기 때문에 충분히 끓인 음식이라도 다시 증식할 수 있다.
*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 등의 특정 세균이 고온, 건조 등 생존이 어려운 환경에서 만들어 내는 것으로 아포형태로 휴면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가 세균이 자랄 수 있는 환경이 되면 아포에서 깨어나 증식·독소 생성
이에 음식점, 집단급식소에서는 주요 도시락 반찬인 고기찜, 제육볶음 등 육류요리와 김밥을 대량으로 조리한 후에 보관방법과 온도를 준수하고 즉시 제공해야 한다.
김성곤 식품안전정책국장은 이날 회의에서 “대량으로 조리하는 배달음식은 취급에 부주의한 경우 집단식중독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식재료 준비와 조리·보관·운반 등에 각별히 주의해야 한다”며, “업계는 나들이철에 국민이 안심하고 식품을 소비할 수 있도록 손 씻기, 익혀먹기 등 식중독 예방 요령을 준수하고 음식점 위생등급제 활성화에도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식약처는 앞으로도 주요 식중독 원인식품과 발생시설에 대한 집중관리를 지속하고 식중독 예방 교육·홍보를 강화하는 등 국민의 안전하고 건강한 식생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
주요 대량 조리음식 취급 방법
➀ 준비·조리 시 • 조리 전·후 반드시 비누 등 손세정제를 이용하여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씻기 • 과일·채소류 등은 흐르는 물에 깨끗이 씻기 • 냉동된 육류 조리 시 반드시 가열 온도·시간(중심온도 75℃, 1분 이상) 준수하고 2시간 이내 제공 • 스테이크류 등은 냉동 상태로 조리 시 표면만 익기 쉬우므로 냉장 해동 후 내부까지 충분히 가열 • 김밥 조리 시 밥은 양념과 섞은 후 충분히 식히고 재료도 익힌 후 충분히 식혀서 만들기 ➁ 보관 시 • 조리완료부터 배달까지 소요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필요한 양만큼 나누어 조리하고, 조리 직후 낮은 스텐인레스 트레이에 소분하여 즉시 냉각(보온고 60℃ 이상, 보냉고 5℃ 이하 유지) • 조리 후 즉시 제공이 어려운 경우 작은 용기에 소분하여 냉장(5℃)보관 * 대량 조리한 음식을 소분하여 보관하면 음식의 온도를 낮추는데 용이함 |
대량 조리음식 식중독 예방 요령(포스터)
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보도자료(2025. 3. 28)
'알쓸잡'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루즈 여행, 국내 출발 노선 확대 (22) | 2025.03.31 |
---|---|
국산 두릅, ‘면역력 증진’ 돕는 사포닌 풍부 (69) | 2025.03.28 |
「해양경찰청」 상반기 경찰관 및 일반직 공무원 ‘340명’ 채용 (8) | 2025.03.28 |
올해 첫 일본뇌염 매개모기 발견! 주의보 발령 (39) | 2025.03.27 |
대한제국 황실 인물과 궁궐 이야기 담은 2권의 책자 발간 (24) | 2025.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