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쓸잡

“낡고 버려진 빈집, 이젠 안녕” 중앙·지방·민간 손잡고 본격 정비

by 아꿈사 2025. 2. 25.
728x90
반응형

행정안전부는 전국의 빈집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난해 50억 원 대비 두 배 확대한 올해 총 100억 원 규모의 예산을 빈집 정비에 투입한다고 밝혔다.

 

행정안전부는 지난해부터 지방자치단체와 협업하여 빈집 철거를 지원하는 빈집 정비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 빈집 1호당 농어촌 7백만 원, 도시 14백만 원 철거비 지원

지난해는 총 11개 시도, 39 시군구에 있는 빈집 841호의 철거를 지원했으며, 올해는 대상 지역과 철거 지원 호수를 확대하여 16개 시도, 1,500호의 빈집 철거를 목표로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올해부터는 빈집 정비를 보다 내실화하기 위해 4개 부처합동(행정안전부, 국토교통부, 농림축산식품부, 해양수산부)으로 구성된 ‘빈집정비지원팀’에서 빈집 정비사업을 추진하고, 범정부 빈집 정비 종합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그간 빈집 정비·관리는 시장·군수·구청장을 중심으로, 관련 제도는 도시지역, 농어촌지역으로 분산 관리됨에 따라* 전국 단위 빈집 현황 파악이 어렵고, 종합적인 제도개선이 이뤄지지 않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 도시 - 국토교통부 소규모주택정비법, 농어촌 - 농림축산식품부·해양수산부 농어촌정비법

 

이에 행정안전부는 지난해 9월 부처 합동 빈집정비지원팀을 구성하였으며, 정확한 빈집 현황 데이터를 바탕으로 정책을 추진할 수 있도록 지난해 10월부터 12월까지 전국 일제 행정조사를 실시한 바 있다.

행정조사 결과, 2024년 기준 전국 빈집은 134천호로 집계됐다. 부처합동 빈집정비지원팀은 현황 데이터를 바탕으로 빈집 정비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며, 관련 제도개선, 타부처 사업과의 연계·협력도 강화해 보다 효과적인 빈집 정비를 지원한다.

 

□ 한편, 부처합동 빈집정비지원팀은 중앙부처·지자체·민간 전문가의 의견을 폭넓게 수렴하고 실효성 높은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빈집 정비 중앙·지방·민관 협의회도 구성해 운영하고 있다.

지난 123일에는 제1회 중앙협의회를 개최해 관계부처 빈집 정비 계획을 공유하고, 정책 방향을 논의했다.

이어 25일에는 제1회 지방협의회를 열어 지자체의 빈집 정비사업 추진 현황을 점검하고, 애로사항을 청취했다.

행정안전부는 중앙·지방·민관 협의회를 통해 수렴된 의견을 토대로 상반기 중에 범정부 빈집 정비 종합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 김민재 차관보는 “빈집 문제는 개별 부처나 지자체가 단독으로 해결할 수 없는 현대사회의 난제이며, 특히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인구구조 변화 속에서 우리나라가 직면한 중요한 과제”라고 강조하며,

관계부처, 지자체, 민간 전문가와 적극적으로 협력하여 효과적인 빈집 정비를 추진하고, 관련 제도개선도 함께 추진하여 종합적인 문제해결을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지자체 빈집정비 지원사업 개요

□ (추진근거) 「빈집 및 소규모주택 정비에 관한 특례법」, 「농어촌정비법」, 「인구감소지역 지원 특별법」, 지자체 조례

 

□ (‘25년 사업개요) 100억 원 규모로 추진

(지원대상) 소규모주택정비법농어촌정비법상 빈집

(지원금액) 1호당 농어촌 5백만 원, 도시 1천만 원

(지원방식) 지자체 경상보조사업으로 추진(보조율 70%)

- (행안부) 사업대상 지자체 선정, 사업비 교부, 사업추진 및 평가

- (시도) ··구 수요조사, ··구별 예산편성 및 교부

- (시군구) 철거 대상지 확보, 시행자 선정지도·감독 등

 

□ (’24년 추진현황) 11개 시도 39개 시군구 841호 지원 *정비 후 주차장 등 조성

 

 

 

 

출처: 행정안전부 보도자료(2025. 2. 25)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