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색 페트병 재생원료 사용 늘린다… 먹는물·음료 업계와 협약
환경부는 먹는물・음료 업계*, 서울아리수본부, 한국수자원공사와 ‘무색 페트병 재생원료 사용 업무협약’을 7월 5일 서면으로 체결한다고 밝혔다.
* 롯데칠성음료(주), 코카콜라음료(주), 스파클(주), 동아오츠카(주), 산수음료(주), 서울우유협동조합, 매일유업(주)
이번 업무협약은 식품용기를 생산할 때 수거된 무색 페트병으로 만들어진 재생원료의 사용을 늘리기 위해 마련됐다.
협약 이후 먹는물・음료 7개사는 국내에서 배출된 무색 페트병으로 만들어진 재생원료(펠릿)를 최소 10% 이상 사용한 식품용기를 생산할 예정이다.
환경부는 재생원료로 만들어진 식품용기에 대한 검사(한국환경공단 수행)를 통해 품질 안전성을 확보하고, 혼합 수거된 무색페트병도 재생원료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하여 공급체계를 확대하는 등 재생원료 시장의 안정적인 수요-공급 기반 마련에 역량을 집중한다.
국제사회는 플라스틱의 사용저감을 위해 재생원료 사용을 의무화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유럽연합(EU)은 식품용 페트병에 2025년까지 25%, 2030년까지 30%, 미국(캘리포니아)은 플라스틱 포장재에 2025년까지 25%, 2030년까지 50%에 해당하는 재생원료를 사용토록 하고 있다.
먹는물과 음료에 주로 사용되는 무색 페트병은 이물질 함량이 낮아 고품질의 재활용 원료로 평가받고 있으며, 소비된 무색 페트병은 분리배출→파쇄→용융 과정 등을 거쳐 재생원료로 재탄생한 후, 다시 페트병을 제조하는 원료로 사용된다. |
![]() |
환경부는 지난 2022년 2월 ‘식품용기 사용 재생원료 기준’을 제정하여 무색페트병으로 제조한 재생원료가 식품용기에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도록 하는 근거 규정을 마련한 바 있다.
유승광 환경부 자원순환국장은 “현재 식품용기(페트병) 생산에 부여된 3%의 재생원료 사용 목표를 2030년 30%까지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다른 품목에도 재생원료 사용 목표를 마련하여 플라스틱 재생원료 사용이 보다 활성화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참여기관 현황
출처: 환경부 보도자료(2024. 7. 5)
보도를 보면서 소비자로서 우려되는 점은 환경을 생각하고 재생원료비율을 높이는 것은 좋으나 자칫 국민의 건강을 해치는 것은 아닌지 우려가 됩니다. 재생원료 사용률을 높이는 만큼 더욱 철저하게 위생처리가 되어야 될터인데 그걸 어떻게 판단할 수 있는지 판단근거가 있는지 소비자가 어떻게 믿고 쓸수 있는지 알수 있도록 수치로 명시하고 인증마크를 부여하여야 믿고 먹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먹는 물이니 만큼 국민적 신뢰가 떨어지지 않도록 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그에 맞는 처리 규정과 감시를 철저히 해야 할 것 같습니다.
'알쓸잡'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 프로야구 올스타전’다회용기와 함께 즐긴다 (52) | 2024.07.06 |
---|---|
외교부·경찰청, 더 신속한 해외 사건사고 대응을 위해 하나되다 (59) | 2024.07.06 |
위생물수건·식품접객업소용 물티슈 등 위생용품 안전점검…8곳 적발 (85) | 2024.07.05 |
우리 수산물과 함께하는 여름휴가로 몸과 마음을 재충전하세요! (54) | 2024.07.05 |
치매환자와 발달장애인 실종 예방을 위한 민·관 협력 배회감지기 지원 강화 (63) | 2024.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