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쓸잡

7월 추천 공공서비스, ‘재외국민 119응급 의료상담’과 ‘스마트패스’ 선정

by 아꿈사 2024. 7. 2.
728x90
반응형

 7월 추천 공공서비스, ‘재외국민 119응급 의료상담’ ‘스마트패스 선정

- 해외에서 모바일이메일로 24시간 응급의료 상담, 얼굴 인증으로 출국장 빠르게 통과
# 재외국민 119응급 의료상담
해외로 가족여행을 떠난 A씨. 호텔에서 하루 묵고 난 뒤 갑자기 몸에 발진이 생기기 시작했다. 벌레에게 물린 듯해 급한 대로 호텔에 비상약을 요청해 연고를 받았지만, 전혀 효과가 없었다. 불안한 마음에 계속 검색하던 중 해외에서도 24시간 응급상담이 가능하다는 ‘재외국민 119응급 의료상담’을 발견했다. 곧바로 카카오톡으로 증상과 사진을 보냈고, 한국은 이른 새벽 시간임에도 단 몇 분 만에 응급처치 방법과 현지에서 살 수 있는 약품 등 대처 방법을 상세히 안내받아 남은 여정을 맘편히 즐겁게 보낼 수 있었다.
 
 
# 인천국제공항 스마트패스
지난해 여름휴가 때 사람이 몰려 출국 게이트 통과에만 한 시간 가까이 걸렸던 B 씨는 올해 여행은 여유 있게 떠나고 싶어 항공기 출발 4시간 전 공항에 도착했다. 일찍 도착했지만 공항은 인파로 가득했고 또 한 번 불안해질 때쯤 우연히 ‘스마트 패스’ 광고를 보게 되었다. 간단한 사전등록만 하면 출국 게이트를 안면인식으로 빠르게 통과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바로 앱을 설치하고 사용등록까지 5분도 채 걸리지 않았다. 이후 전용라인을 이용해 출국 게이트를 순식간에 통과할 수 있었다.

 

□ 행정안전부는 ‘7월의 추천 공공서비스로 여름 휴가철 국외 여행에 유용한 재외국민 119응급 의료상담(이하 119응급 의료상담)스마트패스 선정했다.

 

행안부는 공공기관의 서비스 중 이슈·시기별로 국민이 더욱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정책을 이달의 추천 공공서비스선정해 매월 소개하고 있다.

 

□ 먼저, ‘119응급 의료상담(소방청)’ 여행객뿐 아니라, 유학생, 원양 선원, 재외 동포 등 해외에 있는 국민 누구나 질병에 걸리거나 부상 전화와 이메일, SNS*로 요청하면 응급의학 전문의 등을 통해 실시간 상받을 수 있는 서비스이다.

* 카카오톡 플러스(소방청 응급의료 상담 서비스), 홈페이지(http://119.go.kr),

전화(+82-44-320-0119), 이메일(central119ems@korea.kr)

 

○ 119응급 의료상담은 응급처치법이나 현지 약품 구입처 및 복용법 안내는 물, 여행국 의료기관 이용 방법과 환자 국내 이송 방법 등 대부분 응급상황에 대해 365, 24시간 상담할 수 있다.

 

참고로, 소지품이나 현금 등 재산상의 중대한 손해가 발생한 위급상황에는 외교부의 영사 콜센터’를 이용하면 된다.

 

- 인터넷 연결이 가능한 곳에서는 영사 콜센터 앱을 통해 국제전화비 부담 없이 7개 언어*로 통화할 수 있으며, 카카오톡 내 영사 콜센터 채팅 상담도 가능하다.

* 영어, 중국어, 일본어, 스페인어, 러시아어, 프랑스어, 베트남어 통역 서비스 지원

 

□ ‘스마트패스(국토부, 인천국제공항공사)’ 지난해 7월부터 시작된 서비스로, 인천공항을 이용하는 출국 여객이 얼굴 정보를 사전에 등록하면 출국장과 탑승구를 안면인식만으로 통과하는 시스템이다.

 

그동안 출국장에서는 본인확인을 위해 여권과 탑승권을 보안 검색요원에 제시해야 했으, 스마트패스 이용 승객은 안면인식으로 이 과정을 대신하며 더 빠른 수속이 가능해졌다. 출국장뿐만 아니라 탑승구*에서도 사용할 수 있으며, 현재는 대한항공·제주항공의 일부 항공편에서 지원된다.

* 현재 1터미널 45(제주항공), 2터미널 255(대한항공) 탑승구에서 사용 가능하며, 올해 연말부터 이용 가능한 항공사 확대 예정

 

스마트패스는 모바일 앱(ICN SMARTPASS)을 설치한 후 여권에 들어있는 전자 칩*을 휴대전화 내에 있는 근거리 무선 통신(NFC) 등록한 뒤 얼굴을 인식시키면 바로 이용할 수 있다.

* 구여권(녹색)은 맨 뒷면에, 신여권(군청색)은 맨 앞쪽 개인정보 면에 삽입

 

다만 스마트패스를 등록했다고 해도 여권과 탑승권은 출입국 심사 및 여행국 입국 시 본인확인에 필요하므로 반드시 소지하고 있어야 한다.

 

- 스마트 패스는 한번 등록하면 5년간 유효하며, 탑승권 정보만 매 출국 시 새로 등록하면 된다. 또한 7세 이상 14세 미만 아동* 보호자 휴대전화에 추가 등록하여 사용할 수 있다.

7세 미만은 스마트패스 등록 및 사용 불가

 

한편, ‘이달의 추천 공공서비스에 관한 상세 콘텐츠는 행정안전부 누리집(mois.go.kr)과 정부혁신 누리집(혁신24, innovation.go.kr) SNS 채널(유튜브, 인스타그램 등) 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 행정안전부는 4월부터 6월까지 총 6개의 공공서비스*를 추천해왔다.

* (4)모바일신분증 민간개방, 민간 앱으로 휴양림수목원 및 KTX 예약
(5)온라인원스톱 대환대출, 온라인 피해 365센터
(6)디지털 관광주민증, 국내선 짐배송 서비스

 

7월의 추천 공공서비스 주요내용

서비스명 주요 내용
재외국민 119 응급 의료상담
(소방청)
선정계기: 해외여행 중 질병에 걸리거나 다쳤을 때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재외국민 응급의료 상담서비스 안내
도입: ’18년 일본을 시작으로, ’202월부터 전 세계 어디서나 가능
내용: 해외에 있는 국민 누구나 질병에 걸리거나 부상 시 SNS, 이메일, 전화 등으로 요청하면 응급의학 전문의를 통해 실시간 상담받을 수 있는 서비스
- 해외여행자뿐 아니라 유학생, 원양선원, 재외동포 등 해외에 있는 누구나 이용 가능하며 소방청 중앙119구급상황센터에 24시간 상주하는 응급의학 전문의에게 의료상담, 복약지도, 응급처치법 등을 안내받을 수 있음
이용방법: 카카오톡 등 사회관계망서비스(SNS)와 전자우편(이메일), 119 안전신고센터 누리집 등 온라인은 물론 유선전화 등을 활용해 이용 가능
(카카오톡) 소방청 응급의료 상담서비스카카오톡 채널을 친구 추가하면 상담받을 수 있는 간단한 방식
(홈페이지) http://119.go.kr (전화) +82-44-320-0119
(이메일) central119ems@korea.kr
스마트
패스 (국토부, 인천국제
공항공사)
선정계기: 여름 휴가철 해외여행객 급증 시기, 출국 과정을 빠르게 통과할 수 있는 공항서비스인 스마트패스안내
도입: ’23.7~
내용: 인천공항을 이용하는 출국 여객이 얼굴 정보를 사전에 등록하고 출국장, 탑승구* 등을 안면인식만으로 통과하는 시스템
* 현재 45(1터미널, 제주항공), 255(2터미널, 대한항공) 탑승구에서 사용 가능,
올해 연말부터 이용 가능한 항공사 확대 예정

- 사전에 정보를 등록한 여객은 출국장과 탑승구에서 여권과 탑승권을 꺼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고, 스마트패스 전용라인 이용 가능
이용방법 : 모바일 앱(ICN SMARTPASS) 또는 인천공항의 셀프체크인 키오스크에서 여권과 얼굴정보 사전 등록 후 이용가능

 

이달의 추천 공공서비스 추진상황(4~6월)

서비스명 주요 내용
4 모바일 신분증 민간개방
(행안부)
선정계기: 신규 서비스 실시
도입: ‘24.3~
모바일 운전면허증(‘22.7.~), 모바일 국가보훈등록증(’23.6.~)
내용: 정부 앱에서만 보급 중이던 모바일 신분증민간개방을 통해 민간앱(삼성페이)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 실시
민간 앱으로 휴양림수목원 및 KTX 예약
(행안부
/산림청)
선정계기: 봄 나들이에 유용한 공공서비스 예약방법 안내
도입: ‘23.9(휴양림·수목원), ’23.10(KTX, SRT)
내용: 공공기관 전용 앱에서만 예약가능했던 서비스를 국민들이 많이 사용하는 민간앱에서도 가능하도록 공공 서비스 개방
(휴양림ㆍ수목원 예약) KB스타뱅킹, KB Pay, 네이버에서 가능
(기차:KTX·SRT·새마을호·무궁화호 등) 네이버, 토스, KB Pay 등에서 가능
5 온라인 피해
365센터 (방통위)
선정계기: 가정의 달 온라인 쇼핑 피해 예방
도입: ‘22.5~
내용: 온라인 쇼핑, 사이버 범죄, 명예훼손, 개인정보 침해 등 온라인에서 발생하는 각종 피해에 대한 일원화된 상담 서비스 제공
상담 채널: 전화(142-235), 카카오톡(온라인피해365센터 채널)
온라인원스톱 대환대출
(금융위)
선정계기: 서비스 도입 1주년 및 하반기 서비스 내용 확대 안내
도입: ’23.5~
신용대출 대환(‘23.5)주택담보 및 전세대출 대환(’24.1)
내용: 영업점 방문 없이 온라인(스마트폰) 에서 간편하게 보다 낮은 금리의 대출로 갈아타기 가능하며 ’24.6월부터 서비스 확대*
* (전세대출 대상) 전세 임대차 종료 1년 전 6개월 전까지
(신용대출 서비스 운영시간) 09~1609~22
6 디지털 관광주민증 (문체부,
한국관광공사)
선정계기: 여름 휴가철 국내 여행 시 다양한 할인 혜택 및 여행 정보 제공
도입: ’22.11
내용: 한국관광공사에서 인구 소멸 위기를 겪고 있는 지역의 관광 활성화를 목적으로 도입
대한민국 구석구석 앱을 다운로드 뒤 디지털 관광주민증을 발급받을 지자체 선택 해당 지역 내 숙박, 식음, 체험 등 각종 여행 편의시설과 프로그램 할인 혜택 받을 수 있음
짐배송 서비스
(국토부, 한국공항공사)
계기: 여름 휴가철, 국내선 항공 이용자에가 유용한 서비스 안내
도입: ’21.7월 시범도입(김포 출발제주 도착) ‘23.9월 부터 전국 확대*
* 전국 5개 공항-제주공항, 김포-광주, 김포-김해 간 양방향 서비스)
내용: 국내 공항의 수하물 수취장에 도착한 승객의 짐을 배송업체가 대신 찾아 숙소·자택 등 목적지까지 배달하는 서비스
통합예약 누리집(www.airportbag.co.kr) 또는 짐배송 업체(짐캐리 에어패스 등) 누리집에서 서비스 예약 가능

 

 

출처: 행정안전부 보도자료(2024. 7. 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