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 온 후 높아진 습도에 폭염까지, 온열질환에 주의하세요!
- 온열질환자 발생, 실외 작업장 32%는 50대, 논‧밭의 76%는 60대 이상 - 무더운 시간대 야외활동‧농사일 자제, 현기증 등 증세가 있으면 바로 휴식 |
□ 행정안전부는 비가 오고 난 뒤 높아진 습도에 폭염까지 겹치면 같은 기온이라도 체감온도를 높여 온열질환에 노출되기 쉬워 건강관리에 각별한 주의를 요청했다.
○ 체감온도는 인간이 느끼는 더위나 추위를 수량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온열질환은 열로 인해 발생하는 열사병, 열실신, 열탈진, 열부종 등의 급성질환을 말한다.
□ 최근 5년(2019~2023)간 발생한 온열질환자는 총 8,677명이며 이 중 81명이 사망했고, 2019년 이후로 해마다 증가하는 추세이다.
○ 특히, 2023년에 발생한 온열질환자는 2022년보다 1.8배 많은 2,818명이며, 사망자는 3.6배 정도 증가한 32명이다.
○ 2023년 온열질환자 누적 현황을 일자별로 분석해 보면 장마가 종료된 7월 26일 이후로 가파르게 증가해, 올해도 장마가 그치고 난 후에는 폭염으로부터 건강지키기에 더욱 신경써야 한다.
- 특히, 올해(5.20.~7.16.)는 초여름부터 때 이른 더위가 기승을 부리며 온열질환자도 지난해 같은 시기에 발생한 492명보다 88명 많은 580명 발생했다.
○ 온열질환자가 발생한 장소로는 실외 작업장이 913명(총 2,818명 중 32%)으로 가장 많았고, 논‧밭 395명(14%), 길가 286명(10%) 등 실외에서 상대적으로 많이 발생했다.
- 장소에 따른 연령별 발생현황을 살펴보면 실외 작업장에서는 50대가 284명으로 가장 많았고, 40대(175명), 60대(166명) 순이며,
- 특히, 논‧밭에서 발생하는 온열질환자의 76%(총 395명 중 301명)가 60대 이상에서 발생해, 이 연령층에서는 더욱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여름철 무더운 날씨에는 다음과 같은 사항에 주의한다.
○ 작업장에서는 폭염 특보 발령 시, 1시간 주기로 10~15분 정도 휴식하고, 근무시간을 조정해 무더운 시간대 실외 작업은 피한다.
○ 외출할 때는 양산이나 모자 등으로 햇볕을 차단하고, 옷은 헐렁하고 가볍게 입는다.
○ 땡볕이 강하게 내리쬐는 시간에는 가급적 실외 활동을 자제하고, 야외에 있으면 서늘한 곳에서 휴식하거나 시원한 곳에 머물도록 한다. 특히, 논·밭의 농작물은 아침저녁의 선선한 시간에 살피도록 한다.
- 현기증 등 평소와 다른 증세가 있으면 시원한 장소에서 휴식하고, 폭염 특보가 내려지는 날에는 가까운 주변 이웃의 안부도 챙긴다.
○ 더운 날일수록 갈증이 느껴지지 않아도 규칙적으로 물을 마시고, 카페인과 탄산이 든 음료 등을 과하게 섭취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 영유아, 노약자가 있는 곳에서 냉방기를 가동할 때는 실내외의 온도 차이를 5℃ 정도로 유지하며 틈틈이 환기한다.
- 특히, 폭염 속에 어린이를 차 안에 잠시라도 혼자 두지 않도록 보호자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 이한경 재난안전관리본부장은 “폭염 시 야외활동은 피하고 체감온도가 높아질수록 충분한 수분 섭취와 휴식으로 건강 먼저 챙겨야 한다”라며,
○ “특히, 땡볕이 내리쬘 때 야외 작업은 물론, 논‧밭과 비닐하우스에서의 농사일은 매우 위험하니 가급적 자제하는 등 국민행동요령을 지켜 건강한 여름 보내시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출처: 행정안전부 보도자료(2024. 7. 23)
'알쓸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달청, 선도적으로 신성장 이끌 혁신제품 40개 지정 (43) | 2024.07.24 |
---|---|
여름 휴가철 필수품 선글라스 짝퉁 주의! 소비자 안전 위해 정품 사용해야 (63) | 2024.07.23 |
남・북・다문화 가족간 소통과 화합, 그리고 함께 통일을 염원하는 한마음 캠프 개최 (44) | 2024.07.23 |
국민권익위, 전 야당대표의 전원 및 119응급의료헬기 이용 관련 신고사건 처리 (45) | 2024.07.23 |
청탁금지법상 음식물 가액 범위 3만원→5만원 상향 (50) | 2024.07.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