빵과 과학이 함께 부푼다.
- 국립중앙과학관, 빵 속에 담긴 과학기술을 탐구하는 ‘빵에 진심인 편’ 행사 개최 - 빵에 진심인(人), 과학에 진심인(人)들이 참여하고 체험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구성 |
국립중앙과학관은 모든 연령대가 참여할 수 있는‘빵에 진심인 편’행사를 오는 2월 15일(토)과 2월 22일(토) 양일간 국립중앙과학관 일대에서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국립중앙과학관이 위치한 대전의 도시상표(브랜드)를 활용한 행사로, 빵 속에 숨겨진 역사, 축적된 과학과 기술에 대한 관람객들의 이해를 증진시키고 관람객들이 직접 빵을 만들고 먹어보는 체험을 제공하고자 기획 되었다. 미생물학, 화학, 물리학, 그리고 데이터 과학까지 접목된 고도의 기술적 결과물인 빵에 대해 다양한 강연과 체험프로그램이 운영될 예정이다.
강연 프로그램은 역사, 물리학, 화학분야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빵에 대한 흥미로운 시각을 제시한다. ‘역사 속의 빵, 빵 속의 역사’라는 서양사학자 임승휘 교수(선문대)의 강연을 통해 흥미진진한 빵 속 역사 이야기를 들을 수 있으며, 물리학자 김범준 교수(성균관대)는‘죽은 빵을 살리는 건에 대한 빵역학적 고찰’을, ‘빵맛의 비밀’저자인 김성규 대표(더베이커스랩)는 ‘밀‧균‧셰(제과제빵사<파티시에>)’등 과학의 눈으로 바라본 빵에 대해 강의한다.
또한 우리밀과 쌀을 빵으로 가공하기 위한 품종개량연구, 빵의 대량생산 공정연구, 각 재료가 가진 특성을 활용한 현대 요리연구, 제빵업계 진로 등 식품공학과 제과제빵분야의 보다 전문적인 정보도 얻을 수 있다.
가족 또는 친구와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체험으로는 ‘붕어빵 진로체험’, ‘한입만 미식회’,‘과학적 후식디저트 끝장 개발대회(해커톤)’ 등이 있다.
‘붕어빵 진로체험’은 실제로 붕어빵을 굽고 판매해 볼 기회가 주어지며,
‘한입만 미식회’에서는 단순한 빵 시식을 넘어 맛 비교분석을 통해 빵에 대해 한걸음 더 알아보는 체험프로그램이다. ‘과학적 후식 끝장 개발대회(디저트 해커톤)’는 대전의 대표적인 과학문화공간 카페 쿠아와 함께 과학개념을 살린 후식(디저트)을 개발하는 대회이다. 체험을 통해 행사참가자와 관람객이 서로 소통하는 즐거운 축제의 장이 될 예정이다.
강연 및 체험프로그램은 사전예약을 통해 접수하며, 일부 무료 강연 등은 당일 현장등록으로 참여할 수 있다. 행사장에는 지역제과점(베이커리) 등의 홍보‧판매관도 운영된다.
국립중앙과학관 권석민 관장은 “빵은 문명의 발전과 함께 진화해온 과학적 산물이자 일상 속에서 과학원리를 탐구할 수 있는 좋은 소재”라며 “앞으로도 많은 국민이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행사를 지속적으로 개최하여‘모두를 위한 과학관’이 되겠다.”라고 말했다.
「빵에 진심인 편」의 프로그램별 내용, 대상, 기간, 참가방법 등 자세한 정보는 국립중앙과학관 누리집(www.science.go.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빵에 진심인 편 포스터
행사 일정표
구분 | 일정 | 장소 | 주제 | 강사 |
주강연 | 2.15 11:00 |
나래홀 | - 역사 속의 빵, 빵 속의 역사 | 임승휘 교수(선문대) |
2.15 14:00 |
사이언스홀 | - 2월 별의별 과학특강 : 입 속 축제를 여는 화학 열쇠: 베이커리&디저트의 비밀 |
저스틴리 셰프 | |
2.22 10:00 |
나래홀 | - 레시피는 과학입니다 | 구영재 교수(재능대학교) | |
11:30 | 나래홀 | - 밀‧균‧셰 : 밀가루, 미생물, 파티셰는 인류의 운명을 어떻게 바꿨는가 | 이성규 대표(더베이킹랩) | |
13:00 | 나래홀 | - 망하면 안 되는 빵 만들기: 공학자는 공장빵의 꿈을 꾼다 | 김하람 연구원 (한국식품연구원) |
|
14:30 | 나래홀 | - 빵이 되는 밀과 쌀: 그 품종과 재배의 과학 (가루쌀빵 시식 포함/유료) |
손지영 연구관 (국립식량과학원) |
|
16:00 | 나래홀 | - 죽은 빵을 살리는 건에 대한 빵역학적 고찰 (빵 3종 시식 포함/유료) |
김범준 교수(성균관대) 과커 토크, 임지혜 |
|
토크 | 2/22 10:00~ 16:00 |
고객쉼터 | - 한입만 미식회(유료) : 유명 빵집의 다양한 빵을 시식하고 이야기를 나누는 프로그램 |
빵먹는 개띠랑 대전투어 랄서 빵떡빵 매거진 하오니의 빵탐험 |
11:30 | 세미나실 | - 우린 1절만 하지 않아 칼국수는 빵인가, 붕어빵은 빵인가, 변성암은 빵인가 성심당에서 부딪히지 않고 모두가 평화롭게 빵을 사려면 어떻게 움직여야 할까? |
과학커뮤니케이터 토크(이하은), 개굴(김지연), 인혜(김인혜) |
|
14:30 | 세미나실 | - 빵과 커피 케미의 역사: 노벨상에서 발암물질까지 | 커피연구자 이승훈 | |
15:30 | 세미나실 | - 케이크만 만들 줄 알았는데? 제과제빵으로 열리는 무한한 커리어 | 김선아 대표(허드슨베이킹) | |
16:30 | 고객쉼터 | - 감각으로 만나는 빵: 빵으로 만나보는 시각 촉각 후각 미각 | 과학퍼포머 이유미 | |
워크샵 | 2.15 16:00 |
세미나실 | - 빵 속 과학이야기: 제빵에는 왜 약산성 물이 더 알맞을까?(유료) | 강의나 대표(놀이교육) |
2.22 16:30 |
세미나실 | - 빵 속 과학이야기: 반죽을 만들 때 버터와 물은 어떻게 고루 섞일 수 있게 되나요?(유료) | ||
2/22 10:0013:00 |
세미나실 중앙볼트 |
- 붕어빵 진로체험(유료) : 붕어빵 고수에게 전수받는 노하우& 나만의 속재료로 붕어빵 메뉴를 개발하고 마케팅 전략을 세워 관람객 대상으로 평가받는 체험프로그램 |
과커 쏠이(강솔빈) 붕어빵 고수 송창언 |
|
대회 | 2/22 | 어린이과학관 전시실 | - 과학적 디저트 해커톤(유료) : 과학자, 파티쉐 등 다양한 분야의 팀원들이 모여 과학적 디저트 아이디어 구상부터 제작까지 해보는 챌린지 |
카페 쿠아 |
전시 ‧홍보 |
2/22 | 사이언스홀 로비 | - 빵‧파‧레: 빵에 진심인 파티셰의 레시피 : 다양한 레시피와 결과물(사진)을 모아 전시하는 코너 |
|
- 식문화, 동호회, 베이커리 등 빵과 관련된 주제 홍보부스 |
빵의 과학적 요소
요소 | 과학적 내용 |
베이킹의 정의 | 베이킹은 다양한 재료와 열처리를 통해 빵과 과자를 만드는 과정으로, 화학적 변화와 물리적 변형이 결합된 과학적 접근을 포함합니다. |
밀가루 (Flour) | 단백질 (글루텐 형성) 글루테닌과 글리아딘이 물과 결합해 글루텐을 형성. 글루텐: 반죽의 점성과 탄성을 부여, 기체를 가둠. 화학식: 글루테닌 + 글리아딘 + H₂O → 글루텐 물리적 변형: 반죽 치대기 → 점탄성 증가, 조직 균일화. |
고단백밀: 단단한 빵(식빵, 바게트) 저단백밀: 부드러운 케이크, 페이스트리 전분 (젤라틴화) 열과 물로 전분이 팽창하여 빵의 구조 형성. 화학식: (C₆H₁₀O₅)n + H₂O + 열 → 젤라틴화된 전분 |
|
쇼트닝 (Shortening) | 정의: 실온에서 고체인 지방. 효과: 밀가루를 코팅해 수분 접근 차단 → 글루텐 형성 억제 → 부드럽고 바삭한 질감. |
팽창제 (Leavening) | 이스트: 당분 발효 → 이산화탄소 발생 → 반죽 팽창. C₆H₁₂O₆ → 2 C₂H₅OH + 2 CO₂↑ 베이킹소다: 산과 반응해 이산화탄소 방출. NaHCO₃ + H⁺ → Na⁺ + H₂O + CO₂↑ 증기: 가열 시 수분(H₂O)이 증기로 변해 팽창. H₂O(액체) + 열 → H₂O(기체) 물리적 법칙: 이상기체 법칙(PV = nRT). |
계란 (Eggs) | 응고: 열에 의해 구조를 단단히 고정. 유화: 재료를 균일하게 혼합. 구조를 부풀게 하는 역할. |
설탕 (Sugar) | 카라멜화: 고온에서 설탕이 분해되어 단맛과 풍미를 생성. C₁₂H₂₂O₁₁ + 열 → C₆H₈O₄ (카라멜) + H₂O 마이야르 반응: 당과 아미노산 결합 → 고소한 풍미 형성. C₆H₁₂O₆ + NH₂-CH-COOH + 열 → 풍미 화합물(멜라노이딘). |
소금 (Salt) | 발효 조절: 이스트 활동 억제, 속도 조절. 글루텐 안정화: 음이온이 결합을 강화. NaCl → Na⁺ + Cl⁻ |
가열과 냉각 | 가열: 표면의 수분 증발 → 단단한 껍질 내부 팽창 압력 → 바삭한 질감 냉각: 내부 공기 수축 → 부피 감소. 전분 재결정화(레트로그레이데이션) → 점차 딱딱해짐. |
출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도자료(2025. 2. 12)